본문 바로가기
언어치료

베르니케실어증

by 해끄 2024. 2. 8.

 베르니케실어증은 유창성실어증(fluent aphasia), 감각실어증(sensory aphasia), 수용실어증(receptive aphasia), 뇌후반구실어증(posterior aphasia)등에 속합니다. 주로 상부측두엽(superior temporal gyrus)의 후반 1/3을 차지하는 뇌영역, 즉 베르니케영역을 중심으로 한 뇌손상이 있을 때 흔히 관찰됩니다. 그 손상 부위가 두정엽(parietal lobe)까지 포함되기도 합니다.

 

 베르니케실어증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은 청각적 이해력이 두드러지게 떨어진다는 것입니다. 제시되는 자극어가 문법적으로 복잡하거나 그 길이가 길어질수록 오류가 증가합니다. 청각적 이해력이 떨어질수록 여러 가지 질문에 거의 비슷한 문구만을 되풀이하여 반응하는 현상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를 언어상동증(stereotypy of speech)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어디가 가장 불편하세요?”라고 물었을 때에 할머니가 돌아가셨어, 할머니가.”라고 대답하고 검사하는 내내 다른 질문에도 비슷한 문구로 계속해서 반응하게 됩니다.

 

 베르니케실어증 환자들은 대화를 할 때 혹은 그림 설명을 할 때 비교적 유창하며, 때에 따라서는 지나치게 많은 말을 늘어놓는 과유창성(hyperfluency)을 보이기도 합니다. 또 대개 정상적인 운율이나 발음을 유지하고 비교적 문법데 맞게 말을 하나, 어떤 이는 기능어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과도문법성(paragrammatism)의 경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그뿐 아니라 단어 유출상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의미착어(semantic/verbal paraphasia)가 많이 등장합니다. 의미착어란 목표 단어 대신 그 단어와 의미적으로 연관된 단어로 대치된 반응을 말하는데, 예를 들면 딸기사과라고 말하는 경우 과일이라는 공통된 의미범주에 속한 단어로 대신 반응한 의미착어를 보인 것입니다. 그리고 칫솔치약으로 말하는 경우도 이 닦을 때 사용하는 물건이라는 의미적 공통점에서 볼 때 마찬가지입니다.

 

 베르니케실어증 환자들은 목표단어의 일부 음소(phoneme)를 다른 음소를 대치하여 반응하는 음소착어(phonemic/literal paraphasia)를 보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장화갑화라고 하거나 소화기소자기라고 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음소착어 반응이 우연히도 일정한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는 실제 단어로 대치되는 타단어화 음소착어(formal paraphasia)도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목발목침이라고 반응하는 경우입니다.

 

 목표단어와 그 의미나 발음이 전혀 유사하지 않고 그 나라말의 어휘에도 속하지 않는 반응을 신조어(neologism)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가위열비라고 한다든가 명함짐매라고 말하는 경우입니다. 혹자는 신조어를 착어의 일종으로 보고 신조적 착어(neologistic paraphasia)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환자의 발화에 신조어가 많이 등장하거나 잘못된 단어 선택을 하는 경우 그 발화는 언뜻 유창하게 들릴지라도 정작 내용이 없는 무의미발화(empty speech)’에 속하게 됩니다.

베르니케실어증 환자의 발화에서는 명료하지 않은 태도로 웅얼거리는 듯한, 이른바 자곤(jargon)’이 관찰되기도 합니다.

 

베르니케실어증 환자들에게 구, , 문장 등을 따라 말하게 하였을 때는 실어증의 심한 정도에 따라 자극어를 전혀 따라하지 못하거나 착어를 보이기도 합니다. 또 많은 경우 어느정도 따라 할 수 있으나 전혀 의미를 파악하지 못한 채 따라하기도 합니다. 물건이나 그림을 보여 주고 이름을 말해보도록 하였을 때도 무반응이나 착어를 보이기도 합니다. 자가수정(self correction)도 거의 관찰되지 않습니다. 읽기 과제를 주었을 때 그 과제를 전혀 읽지 못하거나 비록 소리내어 약간 읽을 수는 있더라도 그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쓰기 수행력도 상당히 저하되어 있습니다. 청각적 이해력이 감소된 상태이므로 베르니케실어증 환자인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발화 상태가 완벽하며, 읽기능력도 문제가 없는 경우는 순수어농(pure word deafness)’을 보일 수도 있으므로 실어증과 구별되어야 합니다.